본문 바로가기

토목지식

인접부지 장비 적재에 대한 검토

인접부지 장비 적재에 대한 검토

1. 개요 1) 3BL과 6BL 현장에 당초 계획되어 있던 복공을 설치하지 않고 인접부지에 장비(크람쉘 50TON)를 적재하여도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 2. 검토내용 1) SUNEX 프로그램에 LOAD 하중을 적용하여 장비 적재를 하여도 흙막이 가시설의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함 2) 크람쉘은 50T 하중을 4.5mx5.5m 면적에 등분포하중으로 환산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함 2) 당 현장 인접부지에 장비를 적재하여도 흙막이 가시설의 구조적 안전율은 확보되나 지하안전영향 평가의 기준(80%)에는 적합하지 않음 3) 따라서, 해당 현장 인접부지에 장비를 적재하게 될 경우 별도의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2열 띠장 스티프너 미설치에 대한 검토 검토의견 - 당 현장 2열띠장 스티프너 설치 과정 중 ②구간의 스티프너 설치가 어려워 아래 그림과 같이 스티프너를 설치함에 따라 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함. 띠장 설계시 스티프너는 고려 대상이 아니며, 스티프너의 설치 목적은 버팀보의 국부좌굴 방지의 목적임. 또한 2열 띠장으로 버팀 축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스티프너가 설치 되지 않아도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코너부 띠장의 레벨조정에 대한 검토

당 현장 PILE NO,107~108번 구간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띠장이 메인띠장의 하부 에 설치하도록 설계되었으나 이로 인해 토공작업의 어려움이 있어 레벨조정에 대한 검 토를 수행함. 굴착시의 토압을 지지하는 것은 메인띠장에 설치된 버팀보 이므로 보강용으로 설치된 띠장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인해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기 어려움. 또한 보강띠장이 하부에 설치되면 토공작업 등의 이유로 과굴착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상부로 옮기는 것이 더 안전할 것으로 판단됨.

 

해체 순서변경에 따른 구조안정성 검토

1. 개요 1)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당초 바닥 기초 및 2단 버팀 하단까지 벽체구조물 타설 후 2단 버팀보 해체에서 바닥 기초 타설 후 벽체구조물 없이 2단 버팀보를 해체하여도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 2) 1단 버팀보 해체시 벽체 구조물 타설 높이 검토 2. 검토방법 1) 설계시 적용된 지하수위는 지반조사 결과를 통하여 예측된 지하수위로 굴착으로 인한 실제 지하수위 저하를 반영하기 위하여 시공 중 계측을 통하여 실측된 지하수위를 적용하여 검토함 2) 변경된 해체순서를 흙막이 가시설 해석 프로그램(마이다스 NX)을 이용하여 구조적 안정성 검토 3. 검토결과 1) 바닥기초 타설 후 벽체구조물 타설 없이 2단 버팀보를 해체하여도 흙막이 가시설은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검토됨 2) 다만, 1단 버팀보 해체시에는 상부 지반은 하부 지반에 비해 연약하여 상하단 양단 지지를 하지 않을 경우 하단 지지점을 상승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지하1층 슬라브 타설 후 1.5m 이상의 구조물 벽체를 형성한 후 1단버팀보를 해체를 하여야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검토됨 3) 향후 강우 등으로 인한 지하수위 상승이 우려되므로, 보다 계측관리를 철저히 하여 이상 발생시 즉각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대비하여야 함

'토목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띠장 홀 검토  (0) 2022.08.25
버팀보 해체 안정성 검토  (0) 2022.08.25
보걸이의 용접장 검토  (0) 2022.08.24
홈메우기 용접장 길이 검토  (0) 2022.08.23
8단 버팀보 미설치에 대한 검토  (0) 202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