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지식

띠장 홀 검토

띠장 홀 검토

1. 개요 1) 당 현장 띠장 밑단부(WEB)에 홀의 용도와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검토 2. 검토의견 1) 띠장 밑단부(WEB) 천공 홀의 용도 띠장의 경우 비가 오면 띠장에 빗물이 고여 작업중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부재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빗물 고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띠장 밑단부(WEB)에 홀을 천공함 2) 빗물고임 방지홀 천공으로 인한 부재의 구조적 안정성 띠장 부재 설계시 반복사용정도, 부식정도, 변형상태, 볼트구멍 등을 고려하여 강재의 허용응력 보정계수 0.9를 고려하였으며, 구조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음 3) 검토결과 이와같이 띠장 밑단부(WEB) 빗물고임 방지 홀이 시공되더라도 띠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검토됨

 

화타 볼트에 대한 검토

검토의견 - 당 현장 사버팀 구간이 둔각형태여서 버팀과 띠장을 연결하기 위한 화타의 일부구간에 볼트 설치가 어려워 볼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지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함 - 설계시 회전화타 TYPE-1을 기준으로 화타 볼트 10ea + L형강 스토퍼 2ea = 12ea의 볼트로 이음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설계되었으나 2ea 설치가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10ea의 볼트로도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하였음 - 검토결과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음, 단 L 형강 스톱퍼는 추가적 안정 확보를 위해 설치한 것으로 설치 불가능한곳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간에서는 설치하는 것이 안전측면에서는 바람직함

 

7단 버팀보 위치 조정에 대한 검토

당 현장의 마지막 단 버팀보 설치 시 그 위치가 굴착바닥면과 가까워 시공 중 장비통행 및 버팀보 설치 공사 과정에 어려움이 있어 버팀보의 위치조정에 대한 검토를 실시함 - 당초설계 시 7단 버팀보가 굴착바닥면 으로부터 2.8m(E.L+15.65)에 위치하였으나 0.5m를 올린 3.3m(E.L+16.15)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대한 구조검토를 한 결과 흙막이 가시설 부재의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함 - 따라서 현장여건에 맞추어 지보레벨을 변경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됨 2단 버팀보 해체 후 복공판의 안정성에 대한 검토 2. 검토의견 1) 당 현잔 2단 버팀보 제거 후 슬라브가 없어서 복공판 까지의 최대 수직지간이 7.3m 임 2) 해체 시공 중 복공판 위의 장비 중 펌프카의 총 중량은 479.5KN 으로 구조 계산을 실시함 3) 계산결과 복공판은 구조적으로 안정할 것으로 판단됨 단 수직지간이 길어 토압 의 증가 등으로 인해 좌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1단 버팀보 해체 후 조속한 슬 라브를 시공 및 복공 상부에 검토조건 이상의 과다 하중재하를 지양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