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지식

복공 부재에 관한 검토 복공 부재에 관한 검토 검토조건 당 현장의 복공부재인 주형보가 녹이 슬어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검토결과 및 의견 1. 주형보의 일부가 녹이 슬어 있어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정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2. 당 현장의 복공 부재 검토 시 총 하중이 850KN 인 하이드로크레인이 복공상부에 적재 되었을 경우의 안정성을 검토함. 주형보에 작용하는 작용응력과 처짐을 검토하게 되는데 이때 허용응력을 산정하는 과정 중 강재의 재사용 및 부식을 고려한 혀용응력 저감계수 0.9를 적용하여 검토함. 3. 당초 구조계산 시 복공부재에 부식이 발생하여도 안정함이 확인 되었으므로 주형보의 녹슴을 이유로 구조적으로 문제가 생기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선버팀보 구간의 경사 설치에 대한 구조적.. 더보기
버팀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것에 대한 검토 버팀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것에 대한 검토 검토의견 - 버팀보는 압축력을 받는 부재로 원칙적으로 수직하중을 받아서는 안되나 작업상 불가피하게 수직하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버팀보에 대한 구조검토 시 5kN/m의 하중을 고려하여 검토함 - 버팀보의 특성상 이음부 돌출로 인하여 버팀보 위에 H-BEAM을 2열로 거치한 후 컨테이너를 적재해야 하며, 적재되는 하중을 고려할 때 H-BEAM의 중량 또한 고려되어야 함. - 당 현장의 경우, 버팀보 위에 8t(3x9) 컨테이너를 설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함 - 컨테이너의 크기를 고려하여 3열의 설치된 버팀보 위에 컨테이너를 설치해야 하므로 자중이 분포하중으로 작용하고 컨테이너 설치 시 필요한 H-BEAM (0.094t/m) 2본의 자중을 포함한 1.. 더보기
POST PILE 설치 위치 변경에 대한 검토 POST PILE 설치 위치 변경에 대한 검토 1. 개요 1) 당 현장 표시구간 북측 POST PILE의 강축길이는 5m로 설계되어 있으나 시공상 이유로 맨 윗 열 POST PILE의 위치를 변경하게 되면 강축길이가 길어지게 됨 2) 해당 열의 POST PILE을 이동하여도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요청 2. 검토내용 1) 당초 설계 계산서를 통해 POST PILE의 설치 위치 변경이 가능한지 판단하였음 3. 검토의견 1) 설계 계산서를 보면 당초 POST PILE의 강축길이는 7.5m로 계산하였으며 합성버팀보에 최대축력 1039.5KN이 작용하여도 안전율은 56%로 구조적으로 안정함 2) 해당부분의 POST PILE의 강축길이는 5m 이므로 이동을 하여 강축길이가 길어진다 하여도, 7.5m 내로 .. 더보기
1단 레이커 설치에 관한 구조검토 1단 레이커 설치에 관한 구조검토 1. 개요 1) 당 현장 직선버팀보 구간에 1단 레이커 설치 가능 여부 검토 요청 2. 검토내용 1) 검토방법 sune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단 레이커 및 합성버팀보 부재검토를 실시함. 3. 검토의견 1) 당 현장의 복공 설치로 인해 합성버팀보의 단 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며 1단 버팀보를 하향 조정 하게 되면 지표와의 거리가 3.06m 발생하게 되어 불안정함. 따라서 1단 레이커와 POST PILE 1본을 다음과 같이 추가로 설치하였을 때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함. 2) 레이커의 강축, 약축 길이는 5.2m 각도는 54.8도로 검토한 결과 1단 레이커 설치하는 것에 구조적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됨. 옹벽에 대한 검토 1. 개요 1) 당 현장 굴착을 하여도 아파트 .. 더보기
복공 하부 POST PILE에 버팀보 설치 검토 복공 하부 POST PILE에 버팀보 설치 검토 검토조건 당 현장 복공 하부 POST PILE에 합성버팀보를 설치하여도 구조적으로 안정한지에 대한 검토를 실시함 검토결과 및 의견 1. 일반적으로 복공 설계시 복공 하부 POST PILE에 설치되는 버팀보의 하중을 고려하여 수직력 을 계산하며, 당 현장 복공 설계시에도 이를 반영하여 구조검토를 수행 하였음 2. 복공 POST PILE에 버팀보를 설치하면 버팀보 하중 등으로 인하여 수직력이 증가하나 그 크 기가 POST PILE의 안정성에 문제를 일으킬 정도로 크지 않으며 이는 복공 구조계산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음 3. 오히려 버팀보는 POST PILE과 연결할 경우 POST PILE의 횡방향 움직임을 잡아주는 역할 을 할 수 있으며 버팀보는 흙막이.. 더보기
볼트 토크 기준치 산정 검토 볼트 토크 기준치 산정 검토 1. 개요 1) 당 현장에 사용되는 볼트 토크 기준치 산정에 대한 검토 2. 검토내용 1) 강구조 연결 설계 기준 (KDS) 에서는 접합부의 최소볼트 축력을 45KN 이상을 규정하고 있으며, 그 때 토크치는 160.4 N·m로 산정됨 2) 각 단면별 횡방향, 발생모멘트를 계산하여 볼트 토크기준치를 산정하였으며 그 계산식은 다음과 같음 · 소요볼트 축력은 볼트당 축력이 45KN 보다 작을 경우 45KN으로 계산함 3. 검토결과 1) 각 단면별 볼트 토크 기준치는 다음과 같음 4. 검토의견 1) 볼트 토크 계수는 0.162 값을 기준으로 관리하는 것을 권장하며, 현장에 투입되는 임팩트 공구의 최대 토크는 950N·m 이므로 당 현장은 계산결과와 같이 최소 160.4N·m 이상의 .. 더보기
띠장 홀 검토 띠장 홀 검토 1. 개요 1) 당 현장 띠장 밑단부(WEB)에 홀의 용도와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검토 2. 검토의견 1) 띠장 밑단부(WEB) 천공 홀의 용도 띠장의 경우 비가 오면 띠장에 빗물이 고여 작업중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부재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빗물 고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띠장 밑단부(WEB)에 홀을 천공함 2) 빗물고임 방지홀 천공으로 인한 부재의 구조적 안정성 띠장 부재 설계시 반복사용정도, 부식정도, 변형상태, 볼트구멍 등을 고려하여 강재의 허용응력 보정계수 0.9를 고려하였으며, 구조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음 3) 검토결과 이와같이 띠장 밑단부(WEB) 빗물고임 방지 홀이 시공되더라도 띠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검토됨 화타 볼트에 대한 검토 검토의견 .. 더보기
버팀보 해체 안정성 검토 버팀보 해체 안정성 검토 1. 개요 1) 당 현장 합성버팀보 해체시 안정성 검토 (기초슬라브 타설 – 기초상단으로 부터 1.2m 벽체타설 – 3단 합성버팀보 해체 – 지하 1층 슬라브 타설 – 2단 합성버팀보 해체 – 지하 1층 슬라브로부터 벽체타설 – 1단 합성버팀보 해체 – 지하층 슬라브 및 벽체타설) 2) 합성버팀보 2단 해체 후에 지하 1층 슬라브로부터 2.4m 벽체를 타설 하고 1단 버팀보 해체하여도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 되는지 검토 2. 검토방법 1) 가시설의 안정성 검토를 위하여 가시설 해석프로그램인 SUNNEX를 사용하여 시공단계 별 안정성 검토를 실시함 3. 검토결과 1) 상기 해체 순서에 따라 시공하면 구조적으로 안정함. 2) 구조검토 결과 지하 1층 슬라브로부터 최소 2.0m 이상 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