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지식

보걸이의 용접장 검토

보걸이의 용접장 검토

보걸이 설치 시 1면 용접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함 - 보걸이는 띠장의 하중을 지탱하며 띠장의 하중이 가장 큰 상태인 2열 띠장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검토하였으며, 검토결과 안정함을 확인함 - 따라서 1면 용접으로도 보걸이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 강재 천공방식에 대한 검토 - 볼트홀을 산소천공한 경우에 대한 학술자료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항복강도는 5.3% 증가하며, 인장강도는 1%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수치는 구조적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당 현장의 강재 천공방식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것으로 보이나 산소 천공시 홀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지지 않도록 주의 시공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스티프너 용접방식에 대한 검토 - 띠장 스티프너 설치시 스티프너의 용접 방식에 대하여 검토를 수행함 - 일반적으로 스티프너는 줄용접으로 시공하나, 띠장 하부의 경우 작업자가 위를 바라보며 작업을 해야하는 형태로 작업자의 안전에 위험성이 있으므로 띠장 하부는 태그용접으로 시공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됨 - 띠장 스티프너는 띠장의 국부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버팀보의 축력을 받아줄 수 있도록 수직으로 고정된 형태만 갖추어질 수 있으면 되므로 태그용접으로도 충분히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띠장 스티프너 용접시 상부는 1면 줄용접, 하부는 태그 용접으로 시공하여 시공성을 확보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라 판단됨. 이와 같은 용접 방식은 당 현장의 모든 띠장 스티프너에 해당됨

 

가시설 해체에 대한 검토

당 현장의 해체시 기초슬라브 및 1.2m 높이까지 구조물 벽체를 타설한 이후 3단 해체를 하는 것과 지하층 바닥 슬라브 타설 후 구조물 벽체를 타설 하지 않고 2단 해체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함 - 구조검토 결과 부재의 안정성에는 이상이 없으나 깊이가 깊은 스타필드 연결통로 구간은 기초 슬라브 및 1.4m 까지 구조물 벽체를 타설한 이후에 해체를 진행해야 안정함 - 단 해체시 토압이 증가하거나 지반의 침하 등이 발생 할 수 있으니 이에 대한 주의 및 관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연결통로 구간의 벽체 간격 조정 검토

검토조건 당 현장의 연결통로 구간에 우수관로가 관통하고 있어 벽체 파일과의 간섭이 일어나 간격을 조 정해야 함. 따라서 이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함 검토결과 및 의견 1. 당초 설계시 연결통로 구간의 벽체 간격은 1.35m 였으나 우수관로와의 간섭으로 1.5m 간격으로 조정하였음 2. 구조검토 결과 벽체 파일의 간격을 넓혀도 구조적으로 안정할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