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지식 썸네일형 리스트형 굴착 공사시 소단에 대한 검토 당 현장 굴착 공사시 형성하는 소단의 규격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굴착 공사시 소단에 대한 검토 굴착 공사시 시공성 증대를 위해 흙막이 벽체에서 소단폭을 2.0m, 소단의 높이를 5.0m로 시공하였을 때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구조계산 결과 흙막이 부재의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으며 각 단면에 대한 부재검토 결과는 별도 첨부하였다 검토 결과 당 현장 굴착 공사시 형성하는 소단의 규격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시공성을 고려하여 소단폭 2m, 높이 5m에 대한 검토 결과 흙막이 가시설 부재의 안정성에는 문제 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면구배의 경우 사면높이가 5m 이상에 해당하기 때문에 1:1.0 혹은 그 이상의 사면 구배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검토시의 소단을 적용하여.. 더보기 주물식 화타 적용에 대한 검토 현장에 기존 적용한 합성싱글화타를 대체하기 위해 주물식 제품 화타를 적용하고자 하여 이에 대 한 검토를 수행함 주물식 화타 적용에 대한 검토 당 현장의 경우 1단은 합성 싱글화타, 2~3단은 합성 더블화타로 계획이 되어 있었으므로, 1단에 사 용하는 합성 싱글화타를 주물식 제품 화타를 사용하여도 구조적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지 검토함. 사버팀보에 발생하는 축력을 고려하여 탄소성 해석을 하였을 시 필요볼트 갯수가 1단에 사용되는 주 물식 제품화타의 경우 10개 미만으로 검토되는지 확인 하였음. 검토 결과, 변경하려는 1단의 경우 필요 볼트갯수가 모두 10개 미만이므로 주물식 제품 화타를 사 용하여도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됨. 복공 해체에 대한 검토 당 현장 가시설 복공 중 일부구간을 먼저 해체하는 방안에 .. 더보기 보걸이 안정성 검토 벽체 시공 오차가 생기면서 보걸이 위에 올리는 띠장의 위치가 다음과 같이 변동이 생겼음. 이에 띠장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지에 대한 검토를 실시함. 보걸이 안정성 검토 보걸이는 띠장의 하중이 작용하는 부재로 띠장의 하중을 버텨줄 수 있으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됨. 따라서 띠장의 하중으로 인해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서 보걸이 용접장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 음. 검토결과 최대 전단력은 0.2728kN 이며, 보걸이 안정성은 충분히 확보되는 것으로 확인됨. 검토 결 과는 다음과 같음. 검토결과 보걸이 위의 띠장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안정성은 충분히 확보됨. 단, 보걸이 용접은 일면용접으로 시공하고 검토된 용접장은 반드시 확보하여야 함. 캡빔 콘크리트 설치로 인한 보강버팀보 추가 설치 검토.. 더보기 외측 주형지지보 피스브라켓 용접에 대한 검토 현장 여건 상 외측 주형지지보 피스브라켓을 측면 말뚝에 볼트 연결방식에서 용접으로 변경하여도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를 실시하였음 외측 주형지지보 피스브라켓 용접에 대한 검토 외측 주형지지보에 작용하는 최대전단력을 고려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는 용접장 길이를 검토함. 측면 말뚝과 외측 주형지지보 피스브라켓 연결방식을 현장 여건 상 용접 방식으로 변경 가능한지 검토를 실시하였음. 외측 주형보에 작용하는 최대 전단력 414.41N에 대하여 계획 용접장 길이인 1,120mm로 안정성을 검토 한 결과 구조적으로 안전한 것을 확인됨. 따라서, 구조검토 상 용접장 길이가 확보된 경우에는 볼트에서 용접으로 시공방식을 변경하여도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 단, 검토된 용접장은 반드시 확보하여 시공하여야 함. CI.. 더보기 띠장 선형 및 홈메우기에 대한 검토 오늘은 띠장 선형을 유지하는 것과 홈메우기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된는지 검토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띠장 선형 및 홈메우기에 대한 검토 당 현장 띠장은 일직선으로 설계되어 있었으나, 일부 구간 벽체 시공 오차로 인해 아래와 같이 약 간의 각도가 생겨 설치가 되었음. 또한 숏크리트가 설치되는 구간 띠장 홈메우기가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에 대해 안정성이 확보되 는지 검토를 수행함. 검토내용 1) 벽체의 시공 오차로 인해 띠장이 일직선 형태가 아닌 각도가 생겨서 설치되었지만 홈메우기 시공 부분과 띠장은 수직인 형태를 유지하므로 띠장에 토압이 수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띠장에 대 한 안정성만 확인 된다면 문제 없을 것으로 판단됨. 2) 띠장에 대한 검토시 토압이 띠장에 등분포로 전달되는 것으로 보고 있으.. 더보기 버팀보 설치시 소단폭 검토 오늘은 버팀보 설치시 소단폭 검토에 대한 검토 의견을 알아보려고 한다. 버팀보 설치시 소단폭 검토 1) 당 현장 굴착공사 진행 중 일부 구간의 암반이 빠르게 출현하였음. 2) 따라서, 장비운용, 작업공간 등 시공성을 고려하여서 해당 구간의 소단폭을 최소화하거나 소단을 형 성하지 않고 굴착하여도 안정성이 확보되는지에 대한 검토를 수행함 소단폭 검토내용 1) 암반이 출현된 레벨은 3단 띠장 하부부터 이므로 3단 버팀보 설치 후 굴착단계에서 소단을 제외하 는 것으로 구조검토를 실시하였음 2) 검토 결과 암반이 출현되는 부지 좌측의 경우 3단 버팀보 설치 후 소단을 형성하지 않고 굴착을 하 여도 안정성이 확보되었음 3) 해당 검토는 암반이 출현하는 부지 서측에만 해당되며 다음과 같이 상, 하부 부지 굴착시 소단..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