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지식

인접부지 장비 적재에 대한 검토 인접부지 장비 적재에 대한 검토 1. 개요 1) 3BL과 6BL 현장에 당초 계획되어 있던 복공을 설치하지 않고 인접부지에 장비(크람쉘 50TON)를 적재하여도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 2. 검토내용 1) SUNEX 프로그램에 LOAD 하중을 적용하여 장비 적재를 하여도 흙막이 가시설의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함 2) 크람쉘은 50T 하중을 4.5mx5.5m 면적에 등분포하중으로 환산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함 2) 당 현장 인접부지에 장비를 적재하여도 흙막이 가시설의 구조적 안전율은 확보되나 지하안전영향 평가의 기준(80%)에는 적합하지 않음 3) 따라서, 해당 현장 인접부지에 장비를 적재하게 될 경우 별도의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2열 띠장 스티프너 미설치에 대한 검토 검토의견 - 당 현장 2.. 더보기
보걸이의 용접장 검토 보걸이의 용접장 검토 보걸이 설치 시 1면 용접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함 - 보걸이는 띠장의 하중을 지탱하며 띠장의 하중이 가장 큰 상태인 2열 띠장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검토하였으며, 검토결과 안정함을 확인함 - 따라서 1면 용접으로도 보걸이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 강재 천공방식에 대한 검토 - 볼트홀을 산소천공한 경우에 대한 학술자료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항복강도는 5.3% 증가하며, 인장강도는 1%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수치는 구조적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당 현장의 강재 천공방식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것으로 보이나 산소 천공시 홀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지지 않도록 주의 시공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스티프너 용접방.. 더보기
홈메우기 용접장 길이 검토 홈메우기 용접장 길이 검토 1. 개요 1) 당 현장 시공상 용이함을 위해 홈메우기 상부 용접으로도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 요청 2. 검토의견 1) 당 현장의 사버팀보 구간 홈메우기가 상부 용접으로도 작용하는 수평력을 견딜 수 있는지 검토하였음 2) 작용하는 최대 축력은 985.8KN 이며 설치되어 있는 각도 45도를 적용하여 수평력을 산정함 3) 용접자의 안전 및 시공상 용이함을 위하여 상부용접만 하여도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되나, 검토결과에 따르면 최소 400mm 이상의 용접장을 확보하여야 될 것으로 판단됨. 4) 더블띠장의 경우 시공상 상부띠장에 상부용접, 하부띠장에 하부용접을 하더라도 용접장 길이가 400mm 이상 확보되어야 구조적 안정할 것으로 판단됨. 9단 수직브레이싱 설치여부에 관한 검토 .. 더보기
8단 버팀보 미설치에 대한 검토 8단 버팀보 미설치에 대한 검토 1. 개요 1) 당초 8단으로 계획된 당 현장의 8단 버팀보를 설치하지 않고 최종굴착을 하였음 2) 해당 상황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확보가능 여부 검토 2. 검토방법 1) 탄소성 해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8단 버팀보를 미설치 하여도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함 3. 검토결과 1) 기존 8단 버팀보 설치 계획시 흙막이 부재에 대한 안전율은 합성버팀보 30%, 띠장 60% 측면말뚝 40% 정도로 안전하였으나, 8단 버팀보를 설치하지 않으면 측면말뚝의 안전율이 92% 가량으로 허용한계치에 근접함 2) 또한 해당 현장의 8단 버팀보가 설치되는 구간은 암반이므로 굴착하였을 때 절리 및 불연속면의 방향 및 상태에 따라 예상하지 못한 암반파괴가 발생할 수 있음 3) 따라서 안전율이 확보 .. 더보기
버팀보 선형유지를 위한 보강검토 버팀보 선형유지를 위한 보강검토 1. 개요 1) 당 현장 일부구간에 POST PILE과 합성버팀보의 변형 발생원인과 보강에 대한 검토 2. 원인검토 1) 당 현장 암 발파와 장비 운행을 위해 약축 보강용 찬넬을 지연 설치함에 따라 POST PILE 약축 방향에 대한 좌굴 변형이 생긴 것으로 판단됨 2) 일반적인 POST PILE의 약축 방향 좌굴길이는 대략 5~6M 정도이나, 당 현장은 과굴착(7~8M 가량)이 되어 변형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 3. 검토의견 및 보강대책 1) 변형이 발생한 POST PILE을 기존에 브레이싱으로 보강되어져 있는 복공 PILE과 찬넬로 연결하여 더 이상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함. 보강찬넬은 다음 평면도에 표기한 구간에 설치하여야 하며 1,2,4,5단에 보강하여야 함.. 더보기
홈메우기 용접장에 관한 검토 홈메우기 용접장에 관한 검토 1. 개요 1) 당 현장의 사버팀보 구간(동,서측)의 홈메우기가 상부 용접으로도 작용하는 수평력을 견딜 수 있는지 검토 2. 검토조건 1) 당 현장의 최대 축력이 작용할 때, 사버팀보에 전달되는 응력을 적용하여 수평력을 산정하고 이때 홈메우기 용접장 300mm에 대하여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지 검토하였음. 3. 검토결과 1) 검토결과 상부용접 만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가능함. 2) 단, 시공시 용접은 상부 풀용접(300mm)으로 진행하여야 함, 우각부 띠장 이음 방식 변경에 대한 검토 1. 개요 1) 당초 설계시 우각부 띠장의 이음은 볼트연결 방식이였으나 시공상 문제로 용접이음 방식으로 변경하여도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요청 2) 다음과 같이 우각부 띠장의 용접은 상하부,.. 더보기
띠장 스티프너 용접 방식에 대한 검토 띠장 스티프너는 버팀보의 축력으로 인한 국부좌굴 방지를 위한 용도로, 당 현장의 띠장에 설치되는 스티 프너의 용접 방식에 대하여 검토하려한다. 띠장 스티프너는 띠장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와 띠장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공성 및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용접방식 및 용접길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띠장 스티프너 용접 방식에 대한 검토 용접방식선정 - 기존에 많이 사용하던 용접 방식은 L형 용접 이였으나 이는 모재가 두꺼울 경우 해당 접합부에 홈을 파 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띠장 스티프너 용접방식으로는 적합하지 않음 - 양면 풀용접과 같이 과다 용접을 할 경우 모재인 H빔의 과다한 열변형 및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양면 풀용접은 띠장 스티프너의 용접방식으로 적합하지 않다. - 스티프너는 띠장.. 더보기
복공 설치로 인한 단조정에 대한 검토 복공 설치로 기존 앵커 1단이 복공과 간섭이 발생하여 위치를 옮김에 따라 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함. 복공 설치로 인한 단조정에 대한 검토 1단 앵커가 복공 피스브라켓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까지 조정하여 구조계산을 실시하였다. 검토결과 앵커의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복공으로 인한 앵커 간섭을 피하기 위한 단조정을 검토하였다.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도 부재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므로 단 위치를 변경하여 시공을 진 행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ㄷ형강 설치 방안에 대한 검토 보강을 위한 ㄷ형강 설치 방법에 대한 검토 설치 구간 평면 ㄷ형강이 십자형태로 설치되어 일부 ㄷ형강은 POST PILE의 플랜지에 접합이 불가하므로 아래와 같이 설 치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