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지식

보걸이 안정성 검토

벽체 시공 오차가 생기면서 보걸이 위에 올리는 띠장의 위치가 다음과 같이 변동이 생겼음. 이에 띠장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지에 대한 검토를 실시함.

 

보걸이 안정성 검토

보걸이는 띠장의 하중이 작용하는 부재로 띠장의 하중을 버텨줄 수 있으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됨. 따라서 띠장의 하중으로 인해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서 보걸이 용접장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 음. 검토결과 최대 전단력은 0.2728kN 이며, 보걸이 안정성은 충분히 확보되는 것으로 확인됨. 검토 결 과는 다음과 같음. 검토결과 보걸이 위의 띠장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안정성은 충분히 확보됨. 단, 보걸이 용접은 일면용접으로 시공하고 검토된 용접장은 반드시 확보하여야 함.

 

캡빔 콘크리트 설치로 인한 보강버팀보 추가 설치 검토

당 현장 흙막이벽체 캡빔 콘크리트 설치로 인해 설계시보다 비지간이 커지는 구간이 있어 이에 대한 보 강 방안을 검토함 보강 전 보강 후 캡빔 콘크리트 타설 높이로 인해 말뚝의 비지간이 커져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해당 구간에 버팀보를 추가 설치하여 벽체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직선 버팀보가 추가 설치된 것으로 구조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계산 결과는 아래와 같다 해당 단면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한 결과 구조적으로 안정함을 확인하였으며 자세한 계산 내용은 별도 첨부하였다.  캡빔 콘크리트 시공 여건에 맞추기 위하여 추가적인 보강버팀보 설치 방안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보강버팀보 설치 결과 흙막이 부재의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됨을 확인하였으므로 부재를 설치하여 굴착 현 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보걸이 보강방안 검토

CIP 시공오차로 인한 수직도 불량이 발생하여 보걸이 길이가 짧아 부득이하게 L형강을 용접연결하여 보 걸이 길이를 늘려 시공하였기에 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함 위 그림처럼 L형강을 덧대어 용접하여 띠장을 올리기 위한 길이를 확보하였으며 L형강끼리 용접한 구간이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면 보걸이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용접장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CIP 오시공으로 보걸이 길이가 짧은 구간이 발생하여 이를 보강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기존 보걸이에 L형강을 덧대 용접하여 띠장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강하였으며 용접에 대한 검토 결과 구조적으로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재 보강한 방안은 충분히 안정하므로 시공을 진행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POST PILE 안정성 검토

시공 중 POST PILE 일부에 휨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함 당 현장 POST PILE 일부의 수직도가 불량하여 이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수직길이 3m일 때 15cm 정도 기울어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각도로 표현하면 3° 정도이나 여러 여 건을 고려하여 5° 휘어 있는 것으로 검토하였다. 각도를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 POST PILE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토결과 POST PILE의 수직도 불량으로 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안전측으로 고려하여 POST PILE이 5°정도 각도를 갖게 된 것으로 가정하여 POST PILE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한 결과 부재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장 복공 POST PILE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다. 다만 당초 복공구조계산시 보다 더 큰 장비를 사 용해야 하는 경우는 이에 대한 별도의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