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띠장 선형을 유지하는 것과 홈메우기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된는지 검토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띠장 선형 및 홈메우기에 대한 검토
당 현장 띠장은 일직선으로 설계되어 있었으나, 일부 구간 벽체 시공 오차로 인해 아래와 같이 약 간의 각도가 생겨 설치가 되었음. 또한 숏크리트가 설치되는 구간 띠장 홈메우기가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에 대해 안정성이 확보되 는지 검토를 수행함.
검토내용
1) 벽체의 시공 오차로 인해 띠장이 일직선 형태가 아닌 각도가 생겨서 설치되었지만 홈메우기 시공 부분과 띠장은 수직인 형태를 유지하므로 띠장에 토압이 수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띠장에 대 한 안정성만 확인 된다면 문제 없을 것으로 판단됨.
2) 띠장에 대한 검토시 토압이 띠장에 등분포로 전달되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아래와 같이 홈메우기가 전 구간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는 토압이 띠장에 집중하중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재검토를 실시하여야 함.
3) 따라서, 구조계산 결과 중 최대 축력을 적용하여 띠장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띠장 검 토시 등분포 하 중이 아닌 파일 간격마다 집중하중이 작용한다고 보고 계산하였음.
4) 검토결과 띠장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음
검토결과 및 의견
1) 검토결과 당 현장의 숏크리트 설치구간은 암반인 점, 그리고 띠장의 안정성이 확보된 것으로 보아 시공 오차로 인해 띠장이 완벽히 일직선 형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문제없음. 또한 숏크리트 구간에 띠장 홈메우기를 시공하지 않아도 안정성이 확보됨.
2) 단, 파일과 띠장은 반드시 홈메우기가 이루어져야 하며 띠장이 휘거나 이상 증후가 나타나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함
복공하중 검토
당 현장 복공 상부에 펌프카 2대 이상 작업 가능 여부 검토 복공에 대한 구조검토는 장비의 하중이 부재에 집중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 검토한다. 이는 복수의 장비가 같은 지점에 하중을 주지 않도록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장비를 운용한다면 몇 대가 들어와서 작업을 하던 무방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펌프카 2대가 복공 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으나 펌프카의 아우트리거가 복공 상부의 같은 스판에 설치되면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2배가 되므로 이를 피할 수 있도록 장비의 설치 위치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
구조물 타설을 위한 버팀보 해체시 안정성 검토
지하구조물 타설을 위해 구역을 나누어 시행하고자하나 현장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버팀보가 해체 되어야만 예정된 시공순서로 진행할 수 있어 버팀보를 해체하여도 구조적으로 안정한지에 대한 검토를 수행함 위 그림에서 보이는 횡방향 버팀보는 양측 코너 구간이 둔각형태이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해 설치된 버팀보이다. 코너구간은 기본적으로 코너버팀보가 설치되어 토압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검토에서는 보강버팀보 없이도 코너구간의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검토하였다 버팀보 설치각도가 둔각인 것을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검토 결과 흙막이 가시설 부재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으며 자세한 내용은 별도 첨부하였다. 지하 구조물 설치를 위해 횡방향 보강버팀보를 해체하여도 구조적으로 안정한지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 다. 검토결과 가시설 부재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횡방향 보강버팀보를 해체하여 시공해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버팀보의 설치각도가 커서 버팀보가 받는 힘이 크게 작용하는 구간이기 때문에 시공시 이 부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토목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착 공사시 소단에 대한 검토 (0) | 2022.08.18 |
---|---|
주물식 화타 적용에 대한 검토 (0) | 2022.08.17 |
보걸이 안정성 검토 (0) | 2022.08.16 |
외측 주형지지보 피스브라켓 용접에 대한 검토 (0) | 2022.08.15 |
버팀보 설치시 소단폭 검토 (0) | 2022.08.12 |